-
📋 갑상선결절 초음파 소견 해석, 결과표 이렇게 읽으면 됩니다
“결절이 있는데... 초음파 결과지를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.”
많은 분들이 갑상선 초음파 소견에서
‘TIRADS 4’, ‘저에코’, ‘미세석회화’ 같은 단어들을 보고 불안해합니다.
하지만 이 용어들은 표준화된 분류 체계로 해석이 가능하며,
결과에 따른 관리 방향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갑상선결절 초음파 소견의 핵심 해석 포인트와
📊 TIRADS 등급별 결과표, 추적·수술 기준을 정리합니다.
📌 목차
- 초음파에서 보는 갑상선결절의 기준
- TIRADS 분류란?
- TIRADS 등급별 암 위험도 & 추적방침
- 자주 등장하는 초음파 용어 해석
- 초음파 외 혈액검사/조직검사 연결 포인트
- 결과지를 해석할 때 주의할 점
1. 초음파에서 보는 갑상선결절의 기준
- 결절의 크기 (cm)
- 모양 : 원형 vs 비대칭
- 내부 음영 : 저에코 vs 고에코
- 경계 : 뚜렷한지 불분명한지
- 석회화 유무 : 미세석회화는 암 위험 ↑
- 혈류 분포 : 내부 혈류 ↑ 시 의심 ↑
2. TIRADS 분류란?
-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
- 갑상선 초음파 결과를 점수화하여 암 위험도 예측
- 대표적 분류 : K-TIRADS (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 기준)
3. TIRADS 등급별 암 위험도 & 추적방침
K-TIRADS 등급 의심 정도 암 위험도 관리 방침 1 정상 0% 없음 2 양성 <1% 추적X or 2년 후 재검 3 저위험 <5% 1cm 이상이면 6~12개월 후 재검 4 중간위험 5~20% 1cm 이상이면 FNA 고려 5 고위험 >60% ≥1cm이면 FNA 필수 ✅ FNA = 세침흡인세포검사
4. 자주 등장하는 초음파 용어 해석
용어 의미 설명 저에코 어둡게 보임 암일 가능성 ↑ 고형결절 물 없이 단단한 결절 양성/악성 모두 가능 미세석회화 작은 반짝이 점들 암과 연관 ↑ 경계불분명 침윤 가능성 암 의심 ↑ 내부혈류↑ 비정상 혈류 공급 혈관이 많으면 주의
5. 초음파 외 혈액검사/조직검사 연결 포인트
- TSH 수치가 정상 or 저하 상태 → 결절 평가 가능
- FNA 시행 여부는 초음파 + 크기 기준에 따라 결정
- 조직검사 결과와 초음파 소견이 다를 수 있음
6. 결과지를 해석할 때 주의할 점
- 단어 하나만으로 암 판단 금지
- 여러 요소의 조합(형태, 경계, 크기, 석회화 등)으로 위험도 평가
- TIRADS 등급이 낮아도 크기↑ or 고위험군이면 재검 필요
- 궁금하면 영상의학과나 내분비내과 의사에게 해석 요청
🔗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- [갑상선결절, 암일 확률 얼마나 될까?]
- [TSH 수치로 보는 갑상선 기능 이상 신호]
- [갑상선결절 크기 기준에 따른 수술 여부, 꼭 수술해야 할까요?]
- [세침흡인검사(FNA) 과정 & 주의사항 총정리]
- [갑상선암 조직검사 후 결과 나오는 기간, 얼마나 걸릴까?]
🧾 마무리 요약
갑상선 초음파 결과는 용어가 생소할 뿐,
표준화된 분류 체계(TIRADS)를 기반으로 해석하면
암 가능성 여부와 관리 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혼자 고민하지 말고 전문가와 소통하며 관리 계획을 세우세요.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🥗 갑상선결절에 좋은 음식, 먹을수록 회복에 도움 되는 식단 정리 (0) 2025.06.02 📏갑상선결절 크기 기준에 따른 수술 여부, 꼭 수술해야 할까요? (0) 2025.06.02 🔬 갑상선결절, 암일 확률 얼마나 될까? (0) 2025.06.02 구안와사 도수치료 효과 있나요? 받아본 후기와 전문가 의견 (0) 2025.06.02 안면마비 후유증 오래 가는 경우,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요? (0) 2025.06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