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cm-cyl

의료 및 건강, 통증, 피부, 미용, 보험, 헬스, 생활 life, 검사 등 에 관한 블로그입니다

  • 2025. 5. 28.

    by. ccm-cyl

    🔁 헬리코박터균 재감염 가능성과 예방법

    "한 번 없앴는데 또 생길 수 있을까?"

     


    ✅ 제균치료 이후에도 다시 감염될 수 있나요?

    결론부터 말하면, 재감염은 가능합니다.
    하지만 그 확률은 낮습니다.

    구분 재감염률
    성인 연간 1~3% 이하
    어린이 연간 5% 이상 가능성도 있음

     

    특히 위생 상태가 좋지 않거나, 가족 내 보균자가 있는 경우
    재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헬리코박터균 재감염 가능성과 예방법


    🧬 헬리코박터균 재감염 경로

    경로 설명
    👨‍👩‍👧‍👦 가족 간 감염 식기 공유, 입맞춤, 구강 접촉 등
    💧 오염된 음식물/물 제대로 소독되지 않은 물, 채소 등
    🍽️ 비위생적인 식생활 습관 공동찬기 사용, 손 씻기 부족
    🦷 구강 내 보균 치아 사이, 잇몸, 혀 등에 균이 남아 있을 수도 있음

     


    📌 헬리코박터균 재감염을 막는 예방법

    1. 가족 전체 검사 및 치료

    • 가족 중 누군가 헬리코박터균 보균자라면 동시 치료 권장
    • 재감염 위험을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

    2. 위생적인 식생활

    • 음식은 개별 접시 사용
    • 숟가락·젓가락·컵 공유 금지
    • 외식 시 위생이 검증된 곳 이용

    3. 손 씻기 생활화

    • 식사 전, 화장실 후 30초 이상 손 씻기
    • 어린이의 경우 특히 주의 필요

    4. 정기적인 구강 위생 관리

    • 하루 2회 이상 양치질, 치간칫솔/치실 사용
    • 구강 내 박테리아 환경 개선 → 위장으로의 전파 차단

    5. 오염된 물, 채소 주의

    • 생채소는 반드시 깨끗이 씻기
    • 끓이지 않은 물 섭취 금지

    🧪 제균 성공 여부 확인은 꼭 해야 하나요?

    네, 반드시 해야 합니다.
    치료가 끝난 후 약 4주 뒤,
    “요소호기검사” 또는 “대변항원검사”로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✅ 제균이 실패한 경우 → 2차 치료 필요
    ✅ 제균이 성공했어도 → 추후 재감염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

     

     


    📋 요약 정리

    항목 내용
    재감염 가능성 낮지만 존재 (성인 1~3%, 어린이↑)
    주요 경로 가족 간 감염, 위생 불량, 오염 음식
    예방법 가족 치료, 손 씻기, 식기 분리, 구강 위생
    치료 후 확인 요소호기검사로 제균 여부 필수 확인